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게시판

자유게시판

No. 1891

정몽주의 비판
작성자 :
고구려  (IP :203.194.5.7 )
적성일 :
2004-10-07
조회수 :
2955

포은 정몽주가 사대주의자라는 이야기인데...요
제가 알기로 그는 문무 모두를 겸비한 나라의 걸출한 위인 중 위인 아닌가요? 그는 직접 칼을 들고, 전장을 지휘하던 장수의 역까지 한 멀티 애국자... 사대 주의 하면 강자에 약한 약자에 강한.... 그러나 그의 30년 권좌 사이에 천국이라 햿으나.. 후에 명을 치기를 임금께 간하는데, 그것은 고규려의 역사를 되 찾기와 이성계의 전장 참여를 기획.. 아닐까요
어찌 그리도 하늘 같은 나라를 공격 한단 말입니까.. 하늘에 도움을 청해야지요.... 여기 이성계, 정도전을 제거 해 주십쇼... 신라 처럼...
그것은 어수선한 시국과 명의 선공을 배제 하기위한 연막 전술 입니다....
이성계가 그 모양인데……
어찌 나라가 외침에 감당 할까요? 그 당시는 수 틀리면 전쟁 아닙니까 ?
아니나 다릅니까 ?
위화도 회군을 하는 인간인데...명이 쳐들어 오면 전멸이죠...
우리 역사에서 중국을 다스린 것은 고구려.. 또 포은 이후에 공격을 누가 그리 많이 생각 했습니까....
오히려, 정도전, 이성계 동문 수학한 이들 아닐까요
국호를 명에게 추천 받고....사대 주의자는 도움을 요청 합니다...
최초의 사대 주의자는 좀...어울리지 않죠.
오히려 정도전, 이성계, 정몽주를 가르친 스승 아닐 까요....?
정몽주는 공격했지만 , 이성계는 ....오히려 이성계의 사대 주의에 대해서.... 올리는 것이... 이황 보다 더 사대주의의 원천.
최명길은 우리나라에 원에게 굽힐 것을 간한 인물 입니다… 그도 사대 주의 앞장이구…

목숨도 두려워 않는자가 남에게 굽신 거린다.... 좀 앞뒤가 ...
이성계 정도전은 끝까지 포은과 건국하려 하지만 하지 않았죠...
그의 멀티 애국에 감동 하고, 꼭 필요 했지요
쿠데타가 이미 성공 하고도, 그는 고려를 버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많은 학자, 모두 고려를 버리고
이성계에게 굽히었는데, 정몽주를 사대이니 아니니 왈 할 것보다
그 나머지 학자들은 그 보다도 못한데, 조선에 협조 하고…
최초의 사대 학자는 좀 어울리지 않습니다. 학자가 그 분 뿐입니까 ?
시기 하는 건, 많은 학자가 옛 시대에 즐비 하거늘 그가 그리 생각 하는 것을
곡하여, 몰아내지 않았을 까요?
그가 모든 사대주의의 경향의 책임을 묻는 것은 좀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가 명을 치는 것을 반대 하였다면 사대주의이나, 그가 명을 치는 것을 찬동 한것은 실리외교의 한 모습 아닐까요 ?
실로 무게 있는 위인을 곡 하는 것은 오히려 일제의 식민 습관에서 나오는 것 같이… 저는 그의 정신이 조선대에 걸 쳐 우리의 혼과 같은 인물인데…
그럼 도대체 누가 위인입니까? 거의 광개토 대왕 빼고 없고…..치우천황…

전 백성이 추앙 하는 그를.. 임금 보다 더...
명을 받드는 이성계와 왜, 나라를 안 세울까요 ?
저는 위화도 화군과 명에 외교하러 간 시점을 알고 싶네요
제가 알기로, 그 외교로 나라를 구한 것으로 아는데요...
그 굴욕으로 공격을 먼저 한 것 아닐까요 ?

댓글남기기
글자수는 125자로 제한되며, 욕설, 비방 글은 삭제됩니다.

이름 :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댓글 내용입력

Page : 76 / 1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04 정몽주는 최초의 사대 학자 아니다, 증거   [0]    치우천자 2004-10-09 2506
1903 정몽주의 사대외교 일지 답변   [0]    대지 2004-10-09 2457
1901 사대주의의 위험   [0]    피라미드 2004-10-09 2579
1900 판옥선, 거북선 관련된 질문...   [0]    학생 2004-10-09 2529
  Re: 판옥선, 거북선 관련된 질문...   [0]    관중 2004-10-09 2895
1899 중고서에 고구려 외국으로 분류   [0]    2004-10-09 2564
1896 정몽주와 이성계, 정도전   [0]    고구려 2004-10-08 3124
  Re: 정몽주와 이성계, 정도전   [0]    관중 2004-10-08 2807
1894 인구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0]    궁금합니다. 2004-10-07 2516
  Re: 인구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0]    관중 2004-10-08 2614
정몽주의 비판   [0]    고구려 2004-10-07 2955
  Re: 정몽주의 비판   [0]    관중 2004-10-07 2656
1890 환인 환웅 단군의 神格位   [0]    송옥 2004-10-07 2546
1889 저기요 관리자님   [0]    박명교 2004-10-07 2384
  Re: 저기요 관리자님   [0]    관리자. 2004-10-07 2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