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1905
>우리 역사에 대해 지대한 관심에 세삼 감사드립니다.
판옥선을 김산호 선생이 그린것과 드라마에서 나오는 것과는 조금다르지요.
그것은 드리마 특성상 판옥선제작을 할때 충분한 고증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거북선을 이순신장군이 만들어 사용였다고 일고 있지만 실제로는 아닙니다.
수군편재를 보면 1593년 10월1일 조정에서 명나라 장군 적계광이 개발한 절강병법을 도입하여 새로운 군제를 갖추어 후련도감이 창설합니다.
훈련도감에서 절강병법에 다라 속오법에의해 편성하고 포수와 창검수, 사수(궁수)를 양성한 기록으로 보아 포수 궁수 편재가 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이순신이 승리할수 원인중 하나로 조선의 우수한 무기 체제를 들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탑대한 함대포는 천자,지자.현자. 황자총통이 있었는데 판옥선과 거북선에 네종류의 대포 10문 이상이 탑재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천자총통 : 화살한개 발사시 양 1700m. 화살네개 발사시 약 1300m, 지자총통.현자총통 황자총통은 화살 1개 발사시 1050-1200m, 네개 발사시 790-920M 그외에도 질려포,호준포,진천뢰, 승자총통등을 사용했는데 승자총통은 조총에 비해 성능이 떨어 졌지만 나머지 화포의 위력은 왜군보다 우수했다고 기록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관중 선생님..... 요즘 사극중 불멸의 이순신 첫 화에 보면 판옥선이 나오던데요. 판옥선이 김화백 님께서 쥬신제국사 에서 그리신거 하고는 달리 화포를 맨 위층에서 쏘더군요. 그리고 판옥선의 규모가 좀 왠지 작아 보이구요.....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판옥선이 약 노공이 판옥선 인원의 과반수 이며 실질적으로 전투에 임하는 전투원이 얼마 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헌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도검법, 창법 등 근거리 무기등의 용법이 본국검등 대표적인 걸 빼고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인멸하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로 조선은 대표되는 무기가 활 로 알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함선의 싸움이니 화시 가 필요할테고요..... 그런데 불멸의 이순신 보면은 포수 하고 궁수의 구분이 따로 없더군요.... 더군다나 이순신 장군께서는 주로 접현불허 화포요격 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기록 같은걸 보면 포수 따로 궁수 따로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판옥선 의 최대 배치 인원이 200명이 넘나요?
>그리고 말입니다....관중 선생님께서 용인에 사시는지요? 저도 용인에 산답니다.
Page : 76 / 183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1904 |
정몽주는 최초의 사대 학자 아니다, 증거
[0]
![]() |
치우천자 | 2004-10-09 | 2506 |
1903 |
정몽주의 사대외교 일지 답변
[0]
![]() |
대지 | 2004-10-09 | 2457 |
1901 |
사대주의의 위험
[0]
![]() |
피라미드 | 2004-10-09 | 2579 |
1900 |
판옥선, 거북선 관련된 질문...
[0]
![]() |
학생 | 2004-10-09 | 2529 |
☞ |
![]() ![]() |
관중 | 2004-10-09 | 2895 |
1899 |
중고서에 고구려 외국으로 분류
[0]
![]() |
자 | 2004-10-09 | 2563 |
1896 |
정몽주와 이성계, 정도전
[0]
![]() |
고구려 | 2004-10-08 | 3124 |
![]() ![]() |
관중 | 2004-10-08 | 2807 | |
1894 |
인구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0]
![]() |
궁금합니다. | 2004-10-07 | 2516 |
![]() ![]() |
관중 | 2004-10-08 | 2614 | |
1891 |
정몽주의 비판
[0]
![]() |
고구려 | 2004-10-07 | 2954 |
![]() ![]() |
관중 | 2004-10-07 | 2656 | |
1890 |
환인 환웅 단군의 神格位
[0]
![]() |
송옥 | 2004-10-07 | 2546 |
1889 |
저기요 관리자님
[0]
![]() |
박명교 | 2004-10-07 | 2384 |
![]() ![]() |
관리자. | 2004-10-07 | 2504 |